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포트포워딩
- 브로드캐스트
- 백준1946
- dbeaver
- 도커권한설정
- 페이로드
- Decapsulation
- instancenotfoundexception
- name=springapplication
- ubuntu
- SpringApplication
- 디비버
- 배열최소값최대값
- 오름차순
- 도커
- springboot
- 우분투
- 리눅스계열
- wan
- docker
- 포트포워딩 안될때
- 백준
- 유니캐스트
- 배열복사
- jmx
- javax.management.instancenotfoundexception: org.springframework.boot:type=admin
- 배열빈도수
- 모래시계출력
- 리눅스환경
- 네트워크모델
Archives
- Today
- Total
다잘하고싶어
배포과정에서 포트번호 설정 이해하기 본문
인텔리제이에서 application.properties에 포트번호를 8080으로 설정해두고,
젠킨스에서는 포트번호를 9090으로 설정해두었다.
이것의 의미는?
깃헙을 젠킨스와 연동할 때 사용하는 포트번호가 9090이라는 의미.
따라서 젠킨스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퍼블릭아이피:9090 을 입력해야한다.
그렇다면 인텔리제이에 있는 프로젝트에 설정해놓은 포트번호(여기서는 8080)은?
말 그대로 프로젝트에 접근하기 위해서 필요한 포트번호!
따라서 내가 만든 프로젝트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배포전에는 localhost:8080, 배포후에는 아이피주소(또는 설정해둔 도메인):8080 으로 입력해야한다.
'프로젝트회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Jenkins에 GitHub 연동하기 (0) | 2022.10.26 |
---|---|
SSH 개념 이해 / ec2에 자바, 젠킨스 설치하기. (0) | 2022.10.25 |
ec2, rds 이해하기 (0) | 2022.10.20 |
[Spring프로젝트]AWS EC2를 사용한 배포 (0) | 2022.1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