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리눅스계열
- 포트포워딩 안될때
- ubuntu
- 배열복사
- 백준1946
- 브로드캐스트
- instancenotfoundexception
- 디비버
- 포트포워딩
- 유니캐스트
- 배열최소값최대값
- wan
- 네트워크모델
- 모래시계출력
- name=springapplication
- Decapsulation
- springboot
- 도커권한설정
- 도커
- javax.management.instancenotfoundexception: org.springframework.boot:type=admin
- 백준
- 우분투
- dbeaver
- 오름차순
- SpringApplication
- 페이로드
- jmx
- 리눅스환경
- 배열빈도수
- docker
- Today
- Total
목록프로젝트회고 (12)
다잘하고싶어

이번 공장안전자동화시스템 개발 프로젝트 FacSafe (Factory + Safety) 를 진행하면서 화재, 낙상 감지를 인식하는 딥러닝 모델 학습 및 적용 부분을 담당하게 되었다. 생각보다 정확한 데이터셋을 찾는 것이 쉽지 않았고, 찾더라도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반복적으로 학습을 시켜주어야 했다 아래 내용은 딥러닝모델 학습 과정에서 겪었던 어려움을 정리한 내용이다. roboflow 에서 낙상 관련 dataset 을 다운 받은 후 학습을 시키면 폴더 내에 runs\detect\train\weights 폴더가 생성되고 이 안에 "best.pt" 파일이 생성된다. 즉, 학습 후 가장 높은 퀄리티의 학습된 결과가 저장된 것. 인식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같은 모델을 여러번 학습시켜야 한다 한번 학습을 실행시..

이번 공장안전자동화시스템 개발 프로젝트 FacSafe (Factory + Safety) 를 진행하면서 화재, 낙상 감지를 인식하는 딥러닝 모델 학습 및 적용 부분을 담당하게 되었다. 아래 내용은 실제 화재 및 연기 감지 모델을 학습시키면서 발생했던 에러와 추가적으로 공부했던 내용을 정리한 내용이다. 발생한 에러 TypeError : ERROR segment dataset incorrectly formatted or not a segmnet dataset. 모델학습을 시키는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에러가 발생했다. 에러로그를 찬찬히 보면 문제를 파악할 수 있는데 아래 내용을 보면 더 빠르게 에러발생 원인을 알 수 있다. YOLOv8 학습 시 알아야할 것 YOLO 에는 4가지 분야가 존재한다는 것! Detec..

이번 공장안전자동화시스템 개발 프로젝트 FacSafe (Factory + Safety) 를 진행하면서 화재, 낙상 감지를 인식하는 딥러닝 모델 학습 및 적용 부분을 담당하게 되었다. 딥러닝 모델학습은 처음 경험해보는 것이라 조금 막막하기도 했는데, 생각보다 관련 자료들이 많아서 쉽게 따라할 수 있었다. 아래 내용은 자료들을 참고해 실제 프로젝트에 적용할 YoloV8을 실습해본 내용이다. YOLO Object Detection, 객체 인식 이미지 또는 비디오에서 개체를 식별하고 찾는 것과 관련된 컴퓨터 비전 작업 Object Detection 기술은 두 가지 질문을 위해 존재 이것은 무엇인가? 특정 이미지에서 대상을 식별하기 위함 어디에 위치해있는가? 이미지 내에서 개체의 정확한 위치를 설정하기 위함 YO..

약속 스케쥴링 서비스 MeetHare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유저별 출발지를 기반으로 중간거리를 분석하여 제공하는 기능을 담당하였다. 이 과정에서 중간지점 분석을 위한 알고리즘을 어떻게 고도화하여 사용자에게 가장 의미있는 데이터를 제공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계속되었다. 아래는 기획부터 알고리즘 고도화까지 6주간의 고민과 생각의 내용을 정리한 내용이다. 🚇 중간거리 찾기 1차개발 : 무게중심을 활용하여 중간지점 구하기 유저별 물리적인 위치(위,경도 좌표)를 고려하여 무게중심을 구한 후, 카카오 api를 사용하여 주변 지하철 역을 찾기 가장 간단하지만 정확하게 물리적 위치를 계산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생각하여 위의 방법을 선택했다. 아래는 카카오api 를 사용하여 주변 지하철 역 목록을 가져온 결과이다. 역..

Jenkins에 GitHub 연동하기 먼저 깃헙 토큰을 발급받아온다! 지금부터는 그 이후 단계! Jenkins 관리 → Manage Credentials → System → Global credentials → Add Credentials Gradle 설정 해당 프로젝트를 그래들로 빌드할 것이므로 그래들 설정해주기 먼저 필요한 플러그인들을 설치해준다. Jenkins 관리 → 플러그인 관리 → 설치가능 탭 → 필터 검색 Gradle Plugin : 프로젝트를 Gradle로 빌드할 수 있는 플러그인 Post build task : 빌드 로그를 판단해 batch/shell을 실행하는 플러그인 Jenkins 관리 → Global Tool Configuration → Gradle → Add Gradle 맞는 Gr..

인텔리제이에서 application.properties에 포트번호를 8080으로 설정해두고, 젠킨스에서는 포트번호를 9090으로 설정해두었다. 이것의 의미는? 깃헙을 젠킨스와 연동할 때 사용하는 포트번호가 9090이라는 의미. 따라서 젠킨스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퍼블릭아이피:9090 을 입력해야한다. 그렇다면 인텔리제이에 있는 프로젝트에 설정해놓은 포트번호(여기서는 8080)은? 말 그대로 프로젝트에 접근하기 위해서 필요한 포트번호! 따라서 내가 만든 프로젝트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배포전에는 localhost:8080, 배포후에는 아이피주소(또는 설정해둔 도메인):8080 으로 입력해야한다.

SSH SSH란 Secure Shell Protocol, 즉 네트워크 프로토콜 중 하나로 컴퓨터와 컴퓨터가 인터넷과 같은 Public Network를 통해 서로 통신을 할 때 보안적으로 안전하게 통신을 하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 사용 예시 1. 데이터 전송 ( ex. 소스코드를 원격 저장소인 깃헙에 푸시할 때) 2. 원격제어 ( ex. AWS 의 인스턴스 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머신에 명령을 내릴 때) AWS의 인스턴스 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머신에 명령을 내리기 위해서도 SSH를 통한 접속을 해야한다. 특히나 SSH를 사용하는 이유는? "보안" 때문. FTP나 Telnet와 같은 프로토콜을 통해 정보를 주고받는다면, 누구나 해당 정보를 열어볼 수 있어 보안에 상당히 취약하다. SSH 통신 방식 기본적으로..

REFERENCE https://junhyunny.github.io/information/jenkins/github/jenkins-github-webhook/ 젠킨스(Jenkins) GitHub Webhooks 연동 junhyunny.github.io

배포 관련된 기본 지식은 아래 포스팅 참고하기 2022.10.04 - [프로젝트/배포] - 배포관련 기본 개념 정리 배포관련 기본 개념 정리 - AWS, VOC, EC2 https://22chaechae.tistory.com/4 AWS, VOC, EC2 AWS = 아마존의 클라우드 서비스 클라우드 서비스 : 컴퓨터가 가상의 공간에 있다고 가정하고 자유롭게 쓰는 것. AWS는 IaaS(Infrastru.. 22chaechae.tistory.com 배포순서 1. AWS 가입 후, 데이터베이스 생성하기 2. 생성한 데이터베이스와 인텔리제이 연결하기(스프링부트 빌드하기) 3. 스프링부트와 mysql 연결하기 (서버키면 가상 컴퓨터와 연결된 db에 우리가 만든 테이블이 생성된다.) 4. 우분투 설치 후 접속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