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배열복사
- wan
- dbeaver
- 우분투
- SpringApplication
- 리눅스계열
- 백준1946
- 포트포워딩
- 도커권한설정
- Decapsulation
- javax.management.instancenotfoundexception: org.springframework.boot:type=admin
- name=springapplication
- 브로드캐스트
- 유니캐스트
- jmx
- springboot
- 백준
- 포트포워딩 안될때
- 네트워크모델
- 디비버
- 오름차순
- 배열최소값최대값
- ubuntu
- docker
- 배열빈도수
- 도커
- 모래시계출력
- 리눅스환경
- instancenotfoundexception
- 페이로드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68)
다잘하고싶어
Scanner 보다 훨씬 처리속도 빠르다. 코딩테스트 준비중이라면 그냥 이거 쓰기. 선언 방법 암기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입력시에는 readLine(); 이라는 메소드를 사용. String으로 리턴 값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다른 타입으로 입력을 받고자 한다면 반드시 형변환이 필요하다. (+) 예외처리를 반드시 필요( throws IOException 사용하기 ) 데이터 가공 방식 암기 BufferedReader를 통해 읽은 데이터는 개행 문자 단위(Line 단위)로 나누어지므로 이를 공백 단위로 데이터를 가공하고자 할때는 StringTokenizer 나 String.split() 함수 사용하기...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빅오표기법 : 주어진 식을 값이 가장 큰 대표항만 남겨서 나타내는 방법 예1) 6N+5 의 경우, 총 소요시간은 5보다는 6N에 좌우된다.이때 상수 6도 제외하고 그냥 N에 집중하는 것. => O(N) 예2) 2N+10logN의 경우 N이 커질수록 10logN보다는 2N이 훨씬 클테니 2N만 남기고, 상수도 제외함. => O(N) 예3)N2(제곱)+2N+4 => O(N제곱) 시간복잡도 뒤로 갈 수록 시간 복잡도의 차이가 수행시간에 아주 큰 영향을 준다. 이때 O(2의N승) 은 N이 25이하 정도로 아주 작은 수가 아니면 코딩테스트 시간 복잡도를 통과하기 어렵다. 팩토리얼은 그보다 더 큰 폭으로 시간 복잡도가 올라가기 때문에 11이하의 수가 아니면 시간 제한 통과하기가 어렵다. 공간복잡도 : 입력의 크기와..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 AWS, VOC, EC2 https://22chaechae.tistory.com/4 AWS, VOC, EC2 AWS = 아마존의 클라우드 서비스 클라우드 서비스 : 컴퓨터가 가상의 공간에 있다고 가정하고 자유롭게 쓰는 것. AWS는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중 하나이다. 즉, 가상의 하드웨어만 제. 22chaechae.tistory.com

AWS = 아마존의 클라우드 서비스 클라우드 서비스 : 컴퓨터가 가상의 공간에 있다고 가정하고 자유롭게 쓰는 것. AWS는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중 하나이다. 즉, 가상의 하드웨어만 제공받으면 그 위에 올라가는 운영체제나 프로그램등은 모두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와 대조되는 개념으로는 SaaS(Software as a service)가 있다. SaaS의 대표적 예시로는 구글 드라이브가 있으며, 클라우드 하드웨어, 운영체제, 프로그램까지 다른 곳에 있고 서비스만 가상공간에서 가져다가 쓰는 것을 의미한다. 클라우드 서비스의 장점 확장성 : 더 많은 리소스가 필요하면 추가 금액 지불, 빠르게 원하는 만큼의 서비스 확장이 가능하다. 탄력성 : 특정시기에만 트..
[Spring Data] 스프링을 사용하면 별도로 데이터베이스에 save 하는 과정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트랜잭션 시작 2. 엔티티 조회 3. 엔티티 값 변경(데이터 변경) 4. 트랜잭션 커밋 즉, 데이터베이스에 update 쿼리와 관련된 코드가 없다는 것. 그러나 콘솔창을 확인해보면 자동으로 save 메서드로 변경사항을 저장하지 않아도 update 쿼리가 실행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유는? 더티체킹 Dirty Checking Dirty = 상태의 변화가 생긴 정도 Dirty Checking = 상태 변경 검사 JPA에서는 트랜잭션이 끝나는 시점에 변화가 있는 모든 엔티티 객체를 데이터베이스에 자동으로 반영한다. 즉, save 메서드를 사용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