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우분투
- 포트포워딩 안될때
- wan
- 페이로드
- javax.management.instancenotfoundexception: org.springframework.boot:type=admin
- 모래시계출력
- 오름차순
- 디비버
- 백준1946
- 배열빈도수
- Decapsulation
- 리눅스계열
- ubuntu
- 브로드캐스트
- springboot
- jmx
- 백준
- docker
- dbeaver
- 포트포워딩
- instancenotfoundexception
- SpringApplication
- 도커권한설정
- 도커
- 리눅스환경
- 유니캐스트
- name=springapplication
- 네트워크모델
- 배열최소값최대값
- 배열복사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68)
다잘하고싶어
https://github.com/woowacourse-precourse/java-onboarding/pull/438 [웹 백엔드 프리코스 1주차 미션] 이채영 미션 제출합니다. by chaeyeong222 · Pull Request #438 · woowacours github.com 안녕하세요. 설렘과 긴장으로 시작한 1주차 미션이었습니다. 비교적 쉽게 풀이를 생각한 과제도 있는 반면 하루종일 고민해야했던 과제도 있었습니다. 이번 과제를 통해 1. 내가 생각한 풀이를 명확하게 정리한 후, 코드 구현을 시작할 때 더 수월한 풀이가 가능하다. 2. 그 과정에서 어떤 자료구조를 사용해야 할 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3. 무작정 자료구조에 넣으려 하지 말고, 간단한 로직을 통해 조건을 중촉하지 못하는 값들..
- 한 메서드에 오직 한 단계의 들여쓰기(indent)만 허용했는가? - else 예약어를 쓰지 않았는가? - 모든 원시값과 문자열을 포장했는가? - 콜렉션에 대해 일급 콜렉션을 적용했는가? - 3개 이상의 인스턴스 변수를 가진 클래스를 구현하지 않았는가? 쉽지 않은 연습일 수 있다. 가능하면 인스턴스 변수의 수를 줄이기 위해 노력한다. - getter/setter 없이 구현했는가? 핵심 로직을 구현하는 도메인 객체에 getter/setter를 쓰지 않고 구현했는가? 단, DTO는 허용한다. - 메소드의 인자 수를 제한했는가? 4개 이상의 인자는 허용하지 않는다. 3개도 가능하면 줄이기 위해 노력해 본다. - 코드 한 줄에 점(.)을 하나만 허용했는가? 디미터(Demeter)의 법칙(“친구하고만 대화하라..

웹 기반에서는 모든 데이터를 HTTP를 사용하여 주고받는다. 서버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도 사용한다. 웹 서버 HTTP를 기반으로 동작. 정적 리소스를 제공하고, 기타 부가기능을 제공한다. ex) 정적파일 HTML, css, js, 이미지, 영상 대표적인 웹 서버 : 엔진엑스NGINX, 아파치 APACHE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 (Web Application Server, WAS)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해서 애플리케이션 로직 수행 - 동적 HTML, HTTP API(JSON), 서블릿, JSP, 스프링 MVC 대표적인 WAS : 톰캣 두 가지의 차이? 웹서버는 정적 리소스,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애플리케이션 로직(동적) 을 실행하는 서버다. 사실은 둘의 용어와 경계가 모호하다. 웹 시스템 구성 - WA..

깃에 변경사항 반영하려고 하는데 계속 Permission denied 경고창이 뜬다면 sudo chown -R USER:(id -gn $USER) /Users/myusername/.config 다음의 명령어 사용하기 비밀번호 입력하니 그 후로는 경고창이 안떴다.

Jenkins에 GitHub 연동하기 먼저 깃헙 토큰을 발급받아온다! 지금부터는 그 이후 단계! Jenkins 관리 → Manage Credentials → System → Global credentials → Add Credentials Gradle 설정 해당 프로젝트를 그래들로 빌드할 것이므로 그래들 설정해주기 먼저 필요한 플러그인들을 설치해준다. Jenkins 관리 → 플러그인 관리 → 설치가능 탭 → 필터 검색 Gradle Plugin : 프로젝트를 Gradle로 빌드할 수 있는 플러그인 Post build task : 빌드 로그를 판단해 batch/shell을 실행하는 플러그인 Jenkins 관리 → Global Tool Configuration → Gradle → Add Gradle 맞는 Gr..

인텔리제이에서 application.properties에 포트번호를 8080으로 설정해두고, 젠킨스에서는 포트번호를 9090으로 설정해두었다. 이것의 의미는? 깃헙을 젠킨스와 연동할 때 사용하는 포트번호가 9090이라는 의미. 따라서 젠킨스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퍼블릭아이피:9090 을 입력해야한다. 그렇다면 인텔리제이에 있는 프로젝트에 설정해놓은 포트번호(여기서는 8080)은? 말 그대로 프로젝트에 접근하기 위해서 필요한 포트번호! 따라서 내가 만든 프로젝트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배포전에는 localhost:8080, 배포후에는 아이피주소(또는 설정해둔 도메인):8080 으로 입력해야한다.

SSH SSH란 Secure Shell Protocol, 즉 네트워크 프로토콜 중 하나로 컴퓨터와 컴퓨터가 인터넷과 같은 Public Network를 통해 서로 통신을 할 때 보안적으로 안전하게 통신을 하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 사용 예시 1. 데이터 전송 ( ex. 소스코드를 원격 저장소인 깃헙에 푸시할 때) 2. 원격제어 ( ex. AWS 의 인스턴스 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머신에 명령을 내릴 때) AWS의 인스턴스 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머신에 명령을 내리기 위해서도 SSH를 통한 접속을 해야한다. 특히나 SSH를 사용하는 이유는? "보안" 때문. FTP나 Telnet와 같은 프로토콜을 통해 정보를 주고받는다면, 누구나 해당 정보를 열어볼 수 있어 보안에 상당히 취약하다. SSH 통신 방식 기본적으로..

REFERENCE https://junhyunny.github.io/information/jenkins/github/jenkins-github-webhook/ 젠킨스(Jenkins) GitHub Webhooks 연동 junhyunny.github.io

프로젝트 과정에서 git에 merge한 파일을 풀 땡겨서 받아오고, 실행시키니 아래와 같은 에러가 났다. 2022-10-19 21:24:11.795 WARN 16647 --- [ restartedMain] ConfigServletWebServerApplicationContext : Exception encountered during context initialization - cancelling refresh attemp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UnsatisfiedDependencyException: Error creating bean with name 'dataSourceScriptDatabaseInitializer' defined in class path re..